[기존 협동로봇 그리퍼]
현재 국내 대부분의 진공 그리퍼는
해외 그리퍼 혹은 설계팀 자체 제작으로 공급되고 있으며
이 두 가지 방식은 맞춤 제작을 위해 여러 번 가공하는 등
업무 효율성이 떨어지고 비용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3D프린팅 솔루션]
3D 프린팅의 장점인
맞춤화 설계, 다품종 소량생산, 다양한 소재 사용, 일체화 제작 등을
이용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이는 비용 감소와 업무 효율성 증대로 이어집니다
1) Modeling
3D 캐드를 이용한 최적화 대상 모델을 준비합니다.
2) Optimization
사용 하중을 반영한 형상 최적화(Shape Optimization)를 진행합니다.
3) Analysis
최적화 형상을 기반으로 최종 모델링을 마친 후,
구조적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구조해석을 진행하여
변형 및 응력 수준을 검토합니다.
3D프린팅 활용 시,
가장 중요한 요소인 디자인 최적화 과정을 통해 부품 효율을 높입니다.
· 기존 그리퍼 대비 70-80% 경량화 (약 336g →65g)
· 맞춤형 설계로 모든 종류의 협동로봇에 적용 가능 · 높은 설계 자유도와 맞춤형 설계로 복잡한 목적물 형상에도 맞춤 제작 가능
|
1) 소재 : Onyx 복합소재 (Chopped Carbon + Nylon) / PA12
2) 프린팅 방식 : FDM, SLS
강성이 요구되는 형상 위치를 고려해 최적의 출력 방향을 정하고
서포트라는 지지 구조물이 생성될 영역도 함께 고려해 출력 진행합니다.
복합소재 3D프린팅의 경우 출력 방향에 따라서 탄소 섬유를 보강할 수 있는 구역이 달라지므로
출력 과정도 중요한 부분을 차지합니다.
Onyx 복합소재란? 나일론 기반의 탄소를 혼합하여 만든 복합소재, 마이크로 탄소 섬유 나일론 뛰어난 표면 마감으로 정확한 부품을 생성하며 복합 섬유(HSHT FG, FG, Kevlar, Carbon)로 강화하여 사용 환경에 맞는 원하는 부품을 출력할 수 있습니다. |
· 기존 그리퍼 대비 제작 시간 72% 단축 (7일→2일)
· 기존 그리퍼 대비 제작비용 75~80% 절감
3D프린팅 협동로봇 맞춤형 그리퍼 적용 모습